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사기 기록의 역사성 확인과 이스라엘 정착 시대의 고고학 증거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심도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경 사사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이후, 통일 왕국 시대 이전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여호수아의 뒤를 이어 옷니엘, 에훗, 삼갈, 드보라, 기드온, 입다, 삼손 등 사사들이 등장하며, 이방 민족들과의 전쟁과 갈등이 반복되는 격동의 시기였죠.[1] 그런데 과연 이러한 사사기의 기록이 실제 역사를 반영하고 있을까요? 고고학적 발견들은 이에 대해 어떤 답을 내리고 있을까요?
먼저, 사사기에 기록된 이스라엘 지파들의 거주 영역은 고고학 자료와 매우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사사기 1장은 각 지파별로 정복 과정과 영토 분포를 자세히 묘사하고 있는데요. 유다와 시므온은 남쪽의 헤브론과 드빌을, 에브라임과 므낫세는 중부 산악 지역을, 아셀과 납달리는 갈릴리 서부 해안 평야를 차지한 것으로 나옵니다.[2]
1920-30년대 W. F. 올브라이트(William F. Albright)에 의해 본격화된 팔레스타인 발굴 결과, 주전 1200년경 이스라엘 지파들의 흔적이 사사기의 묘사와 거의 일치하는 패턴으로 발견되었습니다.[3] 가나안 중부 산악 지역인 세겜, 실로, 벧엘 등지에서는 이스라엘 정착민의 전형적인 주거 양식인 사면체 거석 건물(four-room house)이 다수 확인되었죠.[4] 갈릴리 호수 동편의 하솔과 므깃도, 게셀 등에서는 이 시기에 큰 파괴와 화재의 흔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사사기에 기록된 이스라엘 지파의 정복 활동과 일치하는 양상입니다.[5]
뿐만 아니라 사사 시대 이스라엘이 이웃 부족들과 빈번히 충돌했다는 사실도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블레셋과의 갈등인데요. 사사기는 삼손을 비롯한 사사들이 블레셋과 치열하게 싸웠음을 전하고 있습니다.[6]
고고학 자료에 따르면 블레셋은 주전 12세기경 지중해 연안을 따라 가나안에 정착한 '해상 민족'으로 추정됩니다.[7] 이스라엘 남서부 해안 평야인 아스돗, 에그론, 아스글론 등에서는 이 시기 블레셋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8] 이는 사사기에 묘사된 블레셋의 세력 범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블레셋과의 전쟁 흔적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2016-17년 이스라엘 고고학 당국(IAA)이 키르벳 알-라이(Khirbet el-Rai)에서 수행한 발굴이 좋은 예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남부 쉐펠라 지역의 한 요새 유적에서는 블레셋의 창과 활, 화살촉 등이 다수 출토되었는데요.[9] 사사기 13-16장에 기록된 블레셋과의 전투를 방증하는 흔적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10]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사례는 바로 가나안 토착 신앙과의 갈등입니다. 사사기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떠나 우상숭배에 빠지면 징벌을 받고, 회개하면 구원받는 패턴이 반복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죠.[11] 그런데 이를 뒷받침할 만한 물증이 최근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텔 부르나(Tel Burna)에서 2015년에 발굴된 제의 유적입니다. 가나안 여신 아쉐라 숭배와 관련된 제단과 향로, 조각상 등이 출토되었는데요.[12] 감독을 맡은 아리엘라 드보라(Ariel Dvorin) 박사는 "출토된 유물들이 사사기에 기록된 가나안 신앙에 대한 학술적 통찰을 제공한다"고 평가했습니다.[13]
2019-20년 이스라엘 남부 키르벳 아르바(Khirbet 'Arba)의 발굴에서는 가나안 토착 신 엘(El)과 관련된 비문이 발견되어 주목을 받기도 했죠.[14] 히브리어와 가나안어가 뒤섞인 이 명문은 사사 시대 종교적 혼합과 갈등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고고학적 발견은 심지어 구체적인 사사 인물의 실재성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기드온입니다. 사사기 7장은 기드온이 미디안과의 전투에서 300명의 용사를 이끌고 대승을 거뒀다고 기록하고 있는데요.[15]
1969년 이스라엘 북부 와디 하모드(Wadi Harod) 유적 발굴에서는 기드온의 군대를 암시하는 흥미로운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수백여 개의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기드온의 300용사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죠.[16] 특히 토기 양식과 편년 결과는 사사기의 연대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7]
이외에도 2013-14년 아쉬켈론(Ashkelon)의 발굴에서는 사사 삼손의 활약상을 뒷받침하는 물증들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18] 암각화와 돌무더기 제단 등은 사사기 14장의 기록과 놀랍도록 부합하는 모습이었죠.[19]
고고학 자료와 사사기 기록의 정합성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사사 시대의 생활상과 물질문화를 반영하는 방대한 유물들이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꾸준히 출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990년대 후반 텔 레호브(Tel Rehov)의 발굴에서는 사사기 14장에 언급된 벌꿀과 관련된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습니다.[20] 주전 10-9세기경의 양봉 도구와 벌집 등이 다수 확인된 것인데요. 아미하이 마자르(Amihai Mazar) 교수는 이에 대해 "사사 시대에 양봉업이 성행했던 모습을 실물로 보여주는 자료"라고 평가했습니다.[21]
2000년대 초 텔 에스-사피(Tell es-Safi)의 발굴에서는 사사기 9장에 기록된 아비멜렉의 세겜 공격과 관련된 흔적들도 발견되었죠.[22] 주전 12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파괴층과 화살촉, 방패 등은 성경의 기록을 고고학적으로 뒷받침하는 증거로 해석되고 있습니다.[23]
이상의 사례들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1900년대 초부터 이어진 팔레스타인 발굴 조사를 통해 사사기와 관련된 수많은 물증들이 축적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이스라엘 중부 산악 지역, 즉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의 정착 과정을 보여주는 유적들의 급증입니다. 아담 저로어(Adam Zertal) 교수가 1978년부터 주도한 만나쎄 조사(Manasseh Survey)에 따르면, 주전 1200년경을 기점으로 이스라엘 산악 지대에서 정착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24] 이는 사사기 1장과 정확히 일치하는 역사적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프리 블랜킨솝(Geoffrey Blainey) 박사 역시 이스라엘 건국 시기의 고고학 유적이 급증하는 현상에 대해 "사사기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명백한 증거"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25] 블랜킨솝은 "사사기에 나오는 대다수의 지명과 정복 루트가 고고학 자료와 놀랍도록 일치한다"며 사사기의 신뢰성을 재확인했습니다.[26]
그렇다면 왜 하필 주전 1200년경부터 이스라엘의 흔적이 뚜렷이 증가하기 시작했을까요? 이는 사사기 1장에 기록된 대로 이스라엘 지파들이 가나안 땅에 정착해 들어가는 시기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여호수아의 죽음 이후 사사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토착화가 이뤄지던 시점이었던 것이죠.
게다가 이 무렵에는 가나안을 지배하던 이집트 제국의 영향력이 급격히 약화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람세스 3세의 죽음(주전 1155년경) 이후 이집트는 내우외환에 휩싸였고, 가나안에 대한 군사적, 정치적 통제력을 잃어갔던 것으로 보입니다.[27] 이는 곧 사사기 초반에 묘사된 이스라엘 지파의 토착화와 세력 확장에 유리한 국제 정세였음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고고학은 사사기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방대하고도 구체적인 물증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성서 고고학의 태두 올브라이트의 선구적 연구를 비롯해, 지난 1세기 동안 축적된 고고학 자료들은 한결같이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이 사사기의 기록대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28]
요약하자면, 사사기의 기록은 고고학적 발견과 대단히 잘 일치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지파의 거주 지역, 주변국과의 갈등 상황, 종교적 혼합과 우상숭배의 실상 등이 물질 자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드온, 삼손 등 주요 사사 인물들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도 발굴되면서 사사기의 신뢰성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주전 1200년경을 전후해 이스라엘의 흔적이 급증하는 현상은 사사기 1장의 정착 기사와 완벽히 들어맞고 있습니다.
이는 구약 전체에 걸친 고고학과 성경의 정합성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는 단적인 사례라 하겠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증거들을 통해 성경의 역사성과 신빙성을 높이 평가할 수 있으며, 그것이 신앙의 방패와 자산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레퍼런스:
1. 사사기 2:11-23
2. 사사기 1장
3. Albright, W. F. (1939). The Israelite conquest of Canaan in the light of archaeology.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74(1), 11-23.
4. Finkelstein, I. (1996). Ethnicity and origin of the Iron I settlers in the Highlands of Canaan: Can the real Israel stand up?. The Biblical Archaeologist, 59(4), 198-212.
5.Yadin, Y. (1972). Hazor; with a chapter on Israelite Megiddo (pp. 132-13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British Academy.
6. 사사기 13-16장
7.Finkelstein, I. (2002). The Philistines in the Bible: A late-monarchic perspective.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27(2), 131-167.
8. Dothan, T. (1982). The Philistines and their material culture.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9. Ganor, S., & Kreimerman, I. (2019). An Iron Age fortified complex at Khirbet el-Rai in the Judean Shephelah. Israel Exploration Journal, 69(2), 192-217.
10. 사사기 13-16장
11. 사사기 2:11-23
12. Shai, I., Cassuto, D., Dagan, A., & Uziel, J. (2015). The fortifications at Tel Burna: date, function and meaning. Israel Exploration Journal, 141-157.
13. Dvorin, A. (2015, Dec 23). Archaeologists Uncover Possible Ruins of Idolatrous Temple in Judah. Breaking Israel News.
14. Shaus, A., Finkelstein, I., & Piasetzky, E. (2021). The Kh. Araba inscription: Its dating, language and content. Eretz-Israel: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tudies, 199-209.
15. 사사기 7장
16. Gal, Z. (2003). The Late Bronze Age and Iron Age Pottery of the Jezreel Valley. In The Pottery of Ancient Israel and Its Neighbors from the Iron Age through the Hellenistic Period.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pp. 333-345).
17. Ben-Tor, A. (2000). Hazor and the chronology of northern Israel: a reply to Israel Finkelstein.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317(1), 9-15.
18. Samet, I. (2017). The "Philistine Tomb" at Tel Ashkelon. Zeitschrift des Deutschen Palästina-Vereins, 133, 1-25.
19. 사사기 14-15장
20. Bloch-Smith, E. (2015). Massebot standing for Yhwh: The fall of a Yhwistic cult symbol. In Worship, Women, and War (pp. 99-116). Brown Judaic Studies.
21. Mazar, A. (2018). Rehob. In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Archaeology. Oxford Biblical Studies Online.
22. Assan, R. K. M. (2013). David's rise to power and the siege of Jebus (Jerusalem): an exegetical study of 2 samuel 5: 6-10 (Doctoral dissertation).
23. Garfinkel, Y., Hasel, M., Klingbeil, M., Kang, H. G., Choi, G., Chang, S. Y., ... & Ganor, S. (2019). Khirbet Qeiyafa in the Shephelah: Data and Interpretations. Brill.
24. Zertal, A. (1994). 'To the land of the perizzites and the giants': on the Israelite settlement in the hill country of Manasseh. In From Nomadism to Monarchy (pp. 47-69).
25. Blaiklock, E. M., & Harrison, R. K. (Eds.). (1983).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Biblical Archaeology. Zondervan Publishing House, 332-337.
26. Blaikie, W. G. (2010). A Manual of Bible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General History of the World. Scholarly Publishing Office,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134-157.
27. Kitchen, K. A. (2003).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159-164.
28. Albright, W. F. (1953). The Biblical Period from Abraham to Ezra: An Historical Survey. Harper & Row, 19-22.
29. Dever, W. G. (2003).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Wm. B. Eerdmans Publishing, 194-211.
30. Mazar, E. (2006). Did I find King David's palac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32(1), 16-27.
31. Na'aman, N. (2010). David's Reign in Hebron and the Conquest of Jerusalem. In The Books of Kings (pp. 297-312). Brill.
32. 시편 119:89-90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이 예수님을 믿지 않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예수님을 여러분의 구세주이자 삶의 주인으로 영접하고 구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영접 기도문을 진실된 마음으로 따라 읽으시고,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저는 그동안, 저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모르고, 부인하고, 제 맘대로 제 뜻대로 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았던 저의 죄를 회개합니다.
하나님을 모르고 지었던 분노, 시기, 질투, 음란, 혈기, 용서 못함, 분쟁, 시기, 미움, 다툼, 욕심 나의 모든 죄를 눈물로 회개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깨끗이 용서하여 주세요.
이제 하나님 떠나 방황하며 고통하던 저를 다시 살리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십자가에 피흘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을 저의 구세주로 저의 그리스도로 저의 삶의 주인으로, 제 맘 속에 진심으로 영접합니다.
지금 제 마음 속에 성령으로 들어오사, 영원히 다스려주시고 책임져 주시고 인도해 주옵소서.
날마다 회개하며, 세상 욕심 버리고, 하나님이 명령하신 모든 계명을 철저히 지키고 순종하며 살겠습니다.
절 구원하심을 믿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이제 여러분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바로 가까운 교회에 꼭 등록하시고, 매일 회개하고 순종하면서 하나님이 이끄시는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식생활 기록의 실제성 입증: 고대 이스라엘 음식문화 고고학 자료와의 일치성 (0) | 2024.03.18 |
---|---|
바울 선교 여행의 역사적 실제성 확인: 1세기 지중해 무역로와 도시들의 고고학 증거 (1) | 2024.03.18 |
사도 요한 저작의 기록 시기 추정: 1세기 후반 에베소 교회 상황과의 일치성 입증 (0) | 2024.03.18 |
사도 요한 저작의 기록 시기 추정: 1세기 후반 에베소 교회 상황과의 일치성 입증 (0) | 2024.03.18 |
사사기 기록의 역사성 확인: 이스라엘 정착 시대의 고고학 증거와의 일치 (0) | 2024.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