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데카르트 이후 철학사 재조명으로 본 신관의 변천과 무신론 비판

by gospel79 2024. 6. 8.
728x90
반응형

데카르트 이후 서구 사상의 변천과 기독교 신앙의 굳건한 토대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카르트 이후 서구 사상의 변천 과정을 통해 기독교 신앙이 어떻게 시대적 도전에 맞서 그 진리를 더욱 굳건히 세워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근대 철학의 시발점이 된 데카르트의 합리주의부터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들을 살펴보면서, 기독교 신앙이 단순한 믿음의 영역이 아닌 역사적 사실과 객관적 논리에 기반한 불변의 진리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합리주의의 도전과 기독교 신앙의 재확인 (17세기)

17세기 유럽 사상계를 뒤흔든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통해 합리주의 철학의 문을 열었습니다. 그는 인간 이성의 힘을 강조하며, 세상의 모든 것을 의심하고 오직 명확하고 분명하게 인식되는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데카르트의 합리주의는 중세 시대까지 서구 사상을 지배했던 스콜라 철학과 교회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이어졌습니다. [1]

1)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과 한계

흥미로운 점은 데카르트 자신이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는 사실입니다. 그는 자신의 합리주의적 방법론을 통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의 존재론적 증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제 1: 우리는 완전한 존재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다.
  • 전제 2: 완전한 존재는 존재를 포함한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
  • 결론: 따라서 완전한 존재, 즉 신은 존재한다. [2]

그러나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은 순환 논리라는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완전한 존재에 대한 관념 자체가 이미 신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데카르트는 신을 세계의 창조자로 인정하면서도, 세계가 합리적인 법칙에 따라 운행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신의 역할을 축소시켰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3]

2) 기독교 변증가들의 반론과 신앙의 이성적 토대 강화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에 맞서 당시 기독교 변증가들은 기독교 신앙의 이성적 토대를 더욱 굳건히 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데카르트의 합리주의가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계시와 이성의 조화를 추구하며 기독교 신앙의 합리성을 변호했습니다.

  •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은 인간 이성의 한계를 인정하고, 믿음의 도약을 통해서만 신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유명한 파스칼의 내기를 통해 신의 존재를 믿는 것이 이성적으로도 더 유리함을 보여주려고 시도했습니다. [4]
  •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경험론을 통해 인간은 감각 경험을 통해서만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기독교의 합리성(The 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1695)에서 성경의 가르침이 이성과 경험에 부합한다는 것을 논증했습니다. [5]

이처럼 17세기 기독교 변증가들은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에 맞서 기독교 신앙의 이성적 토대를 더욱 강화하고, 믿음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참고문헌

[1] Cottingham, J. (Ed.). (1992).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Descartes, R. (1984).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Kenny, A. (2006).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4] Pascal, B. (2004). Pensées. Penguin Classics.

[5] Locke, J. (1996). The 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and A vindication of the 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