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 & A

소돔과 고모라, 신화인가 역사인가?: 최신 지질학 및 고고학적 증거 분석

by gospel79 2025. 4. 7.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경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인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가 단순한 신화나 전설이 아니라, 실제 역사적 사건에 기반하고 있을 가능성을 최신 지질학 및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성경의 기록, 특히 기적적인 사건들에 대해 의구심을 품거나 신화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소돔과 고모라의 사례는 과학적 연구가 성경 기록의 역사적 신뢰성을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본 글을 통해 기독교 신앙이 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탄탄한 역사적, 과학적 근거 위에 세워진 진리임을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성경 속 소돔과 고모라: 멸망의 기록

먼저 성경이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세기 19장은 이 사건을 매우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핵심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호와께서 하늘 곧 여호와께로부터 유황과 불을 소돔과 고모라에 비같이 내리사 그 성들과 온 들과 성에 거주하는 모든 백성과 땅에 난 것을 다 엎어 멸하셨더라" (창세기 19:24-25)

"아브라함이 그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여호와 앞에 서 있던 곳에 이르러 소돔과 고모라와 그 온 지역을 향하여 눈을 들어 연기가 옹기 가마의 연기같이 치솟음을 보았더라" (창세기 19:27-28)

이 구절들은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시사합니다. 첫째, 멸망의 원인이 하늘로부터 내려온 **'유황과 불'**이라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한 지상에서의 화재가 아님을 암시합니다. 둘째, 파괴가 매우 갑작스럽고 완전했다는 것입니다 ('다 엎어 멸하셨더라'). 셋째, 그 결과로 엄청난 양의 연기가 발생했다는 점입니다 ('옹기 가마의 연기같이'). 이러한 묘사는 후대의 해석과 과학적 탐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소돔과 고모라 이야기는 단순한 도덕적 교훈을 넘어, 특정 지리적 위치에서 발생한 격변적인 사건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성경은 이 도시들이 '요단 들판' 또는 '키카르(Kikkar)' 지역, 즉 사해 주변의 비옥한 평지에 위치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합니다 (창세기 13:10-12). 따라서 고고학적, 지질학적 탐구는 바로 이 지역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사해 주변의 고고학적 탐사: 사라진 도시들의 흔적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고학자들은 오랫동안 사해 주변 지역에서 소돔과 고모라의 흔적을 찾아왔습니다. 20세기 초, 저명한 고고학자 윌리엄 F. 올브라이트(William F. Albright)는 사해 남동쪽 지역을 유력한 후보지로 지목했습니다 [3].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밥 엣-드라(Bab edh-Dhra)  누메이라(Numeira) 라는 중요한 청동기 시대 유적지가 발굴되었습니다. 이 두 도시는 기원전 3천년기 후반 (초기 청동기 시대 III, 약 2350 BCE)에 파괴되고 버려진 흔적을 뚜렷하게 보여줍니다 [4]. 특히 밥 엣-드라는 넓은 공동묘지를 포함한 대규모 도시였으며, 누메이라는 화재로 인한 파괴 증거가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고고학자 R. 토마스 샤웁(R. Thomas Schaub)과 월터 E. 라스트(Walter E. Rast)는 1970년대 이 지역을 광범위하게 발굴하며, 이 도시들이 지진과 화재로 파괴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5].

그러나 밥 엣-드라와 누메이라의 파괴 시기는 성경에서 아브라함 시대, 즉 중기 청동기 시대 (약 2000-1550 BCE) 로 추정되는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시기와는 수백 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시기적 불일치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이들 남부 유적지가 성경의 소돔과 고모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연구는 사해 북동쪽 지역, 즉 성경에서 언급된 '요단 키카르' 지역으로 옮겨졌습니다. 이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는 유적지가 바로 탈 엘-함맘(Tall el-Hammam) 입니다. 요르단강 계곡 동쪽에 위치한 탈 엘-함맘은 청동기 시대에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그 규모와 전략적 위치는 성경에서 묘사된 '소돔'의 특징과 잘 부합합니다 [6].

트리니티 사우스웨스턴 대학의 스티븐 콜린스(Steven Collins) 박사가 이끄는 발굴팀은 2005년부터 탈 엘-함맘을 집중적으로 조사해왔습니다 [7]. 그 결과, 이 도시는 초기, 중기, 후기 청동기 시대를 거치며 번성하다가 중기 청동기 시대 II (약 1650 BCE 또는 3600 BP) 에 갑작스럽고 격렬한 파괴를 겪고 버려졌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파괴 시기는 아브라함 시대로 추정되는 연대와 상당히 잘 일치하며, 이는 탈 엘-함맘이 성경의 소돔일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발굴된 두꺼운 파괴층 (약 1.5m) 과 도시의 갑작스러운 소멸은 평범한 군사적 정복이나 지진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사건이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1].

탈 엘-함맘의 파괴: 소행성 공중 폭발 가설

탈 엘-함맘의 중기 청동기 시대 파괴층에서 발견된 증거들은 매우 이례적이며, 극도로 높은 온도와 압력을 동반한 사건이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단순한 화재나 지진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들입니다. 2021년, 저명한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연구 논문은 이러한 증거들을 종합하여 소행성 또는 혜성의 공중 폭발 (airburst) 이 탈 엘-함맘의 파괴 원인이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1]. 이 연구에는 고고학자, 지질학자, 우주물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연구팀이 제시한 주요 증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녹아내린 물질: 파괴층에서는 토기 조각들이 섭씨 2000도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어 녹아 유리처럼 변한 '트리니타이트 유사 물질 (trinitite-like glass)' 이 발견되었습니다 [1, 2]. 또한 진흙 벽돌과 건축 자재들이 녹아내린 흔적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온도는 일반적인 화재나 고대 기술로는 도달하기 불가능한 수준이며, 핵폭발이나 운석 충돌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에서 관찰될 수 있는 온도입니다.
  2. 충격 변성 석영 (Shocked Quartz): 석영 결정 내부에 평면 변형 구조 (Planar Deformation Features, PDFs) 를 보이는 입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1]. 이는 순간적인 고압 충격을 받았을 때 형성되는 특징적인 구조로, 운석 충돌 지점이나 핵실험 장소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지진이나 화산 활동으로는 이러한 구조가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3. 미세 구체 (Spherules): 철과 규소가 풍부한 작은 구체들이 다량 발견되었는데, 이 중 일부는 백금족 원소 (Platinum Group Elements, PGEs)인 백금(Pt), 이리듐(Ir), 오스뮴(Os) 등을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었습니다 [1]. 이러한 미세 구체는 운석 물질이 고온에서 증발했다가 응축되면서 형성될 수 있습니다.
  4. 나노 다이아몬드 (Nanodiamonds) 및 다이아몬도이드 (Diamondoids): 고압 환경에서 탄소 물질이 변형되어 생성될 수 있는 미세한 다이아몬드 입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1, 2]. 이는 충격파에 의한 순간적인 고압 상태가 존재했음을 시사하는 또 다른 강력한 증거입니다.
  5. 높은 염분 농도: 파괴층 위에는 높은 농도의 염분을 포함한 토양층이 덮여 있었습니다 [1]. 연구팀은 공중 폭발의 충격파가 인근 사해의 물이나 소금 퇴적물을 대량으로 공중으로 흩뿌려 도시 위로 떨어뜨렸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이 이후 수백 년간 농경에 부적합하게 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증거들은 탈 엘-함맘 상공에서 거대한 공중 폭발이 일어났음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연구팀은 약 65km 상공에서 직경 약 50-60미터 크기의 소행성이나 혜성이 대기권에 진입하여 폭발했으며, 이 폭발 에너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1,000배 이상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약 15 메가톤 TNT 이상) [1]. 이는 1908년 시베리아 퉁구스카 대폭발 사건과 유사한 규모의 사건이었을 수 있습니다. 퉁구스카 사건 당시에도 강력한 폭발음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의 숲이 파괴되었지만, 명확한 충돌구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운석이 지표면에 충돌하기 전에 공중에서 폭발했기 때문입니다.

공중 폭발 가설과 성경 기록의 놀라운 유사성

탈 엘-함맘에서 제시된 소행성 공중 폭발 가설은 창세기에 기록된 소돔과 고모라 멸망 묘사와 놀라울 정도로 일치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 하늘로부터의 불과 유황: 공중 폭발 시 발생하는 엄청난 열복사는 지상의 가연성 물질들을 순식간에 발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하늘로부터 내려온 불'이라는 묘사와 일치합니다. 또한, 폭발로 인해 대기 중의 황 성분이 반응하여 '유황 비'처럼 떨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1]. 폭발 자체의 섬광과 열기는 하늘에서 불이 쏟아지는 것처럼 보였을 것입니다.
  • 갑작스럽고 완전한 파괴: 공중 폭발로 인한 강력한 충격파와 열은 도시 전체를 순식간에 파괴하고 사람들을 즉사시켰을 것입니다. 이는 성경의 '다 엎어 멸하셨더라'는 표현과 정확히 부합합니다. 폭발의 위력은 건물을 완전히 파괴하고 사람과 동물을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할 만큼 강력했을 것입니다.
  • 옹기 가마 같은 연기: 대규모 폭발과 그로 인한 화재는 엄청난 양의 연기와 먼지 기둥을 형성했을 것입니다. 아브라함이 멀리서 목격한 '옹기 가마의 연기같이 치솟는' 모습은 바로 이러한 폭발 후의 참혹한 광경을 묘사한 것일 수 있습니다 [1].
  • 지역 전체의 황폐화: 공중 폭발은 탈 엘-함맘뿐만 아니라 주변의 넓은 지역 (약 500 평방킬로미터 이상) 에 걸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 성경 역시 소돔과 고모라 외에 '그 성들과 온 들'이 함께 멸망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폭발로 인해 흩뿌려진 고농도 염분은 토양을 오염시켜 이후 약 300-600년간 해당 지역의 농업을 불가능하게 만들었을 수 있으며 [1], 이는 성경 시대 이후 이 비옥했던 지역이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는 불모지로 남게 된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물론, 탈 엘-함맘이 성경의 소돔이라는 확정적인 증거는 아직 부족하며, 공중 폭발 가설에 대한 학계의 추가적인 검증과 논의가 필요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파괴의 원인을 다른 자연 현상 (예: 지진으로 인한 가스 누출 및 폭발)이나 고고학적 해석의 문제로 보기도 합니다 [8]. 하지만 현재까지 탈 엘-함맘에서 발견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과학적 증거들은 소행성 공중 폭발 가설을 매우 설득력 있게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과학적 증거와 기독교 신앙: 허구가 아닌 역사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에 대한 지질학적, 고고학적 증거들, 특히 탈 엘-함맘의 소행성 공중 폭발 가설은 기독교 신앙에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이는 성경이 단순한 신화 모음집이 아니라, 실제 역사적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과학적 발견이 성경 기록의 세부 사항과 놀랍도록 일치하는 것은, 성경이 신뢰할 만한 역사적 문서임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지표입니다. 물론 과학적 설명이 하나님의 초자연적 개입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연 현상을 통해서도 당신의 뜻을 이루실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성경의 기록이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발생했던 격변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입니다.

탈 엘-함맘의 연구 결과는 성경의 역사적 정확성을 입증하는 수많은 고고학적, 문헌적 증거들 중 하나일 뿐입니다. 다윗 왕국의 실존 증거 (텔 단 석비), 히스기야 왕의 터널, 여리고 성의 함락 등 수많은 고고학적 발견들이 성경 기록과 일치하며 그 신뢰성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9, 10]. 이러한 증거들은 기독교 신앙이 맹목적인 믿음이 아니라, 검증 가능한 역사적 사실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불신자나 신앙이 흔들리는 분들에게 이러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증거들은 기독교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는 더 이상 고대의 신화로만 치부될 수 없습니다. 탈 엘-함맘의 고고학적 발견과 소행성 공중 폭발 가설은 이 이야기가 실제 역사적 사건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매우 높여줍니다. 하늘에서 내려온 불과 유황, 갑작스러운 도시의 파괴, 거대한 연기 기둥, 그리고 지역의 장기간 황폐화라는 성경의 구체적인 묘사는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현상과 놀랍도록 부합합니다. 이는 성경이 신뢰할 수 있는 역사적 기록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이처럼 성경과 기독교는 허구나 신화가 아닌, 명백한 역사적, 객관적,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진리입니다. 여러분, 이러한 압도적인 증거 앞에서 더 이상 망설이지 마시기 바랍니다. 성경이 증언하는 예수 그리스도는 역사적으로 실존하셨으며,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성경의 경고처럼,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다면 영원한 심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지금 즉시 이 블로그의 다른 글들도 읽어보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여 영원한 생명을 얻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시간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영원한 운명이 달린 문제입니다. 부디 진지하게 고민하고 결단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1. Bunch, T.E., LeCompte, M.A., Adedeji, A.V. et al. (2021). A Tunguska sized airburst destroyed Tall el-Hammam a Middle Bronze Age city in the Jordan Valley near the Dead Sea. Scientific Reports, 11, 18632.
  2. Silvia, P. J. (2015). The Destruction of Tall el-Hammam in the Middle Bronze Age: An Ancient Eyewitness Account? PhD Dissertation, Trinity Southwest University.
  3. Albright, W. F. (1924). The Jordan Valley in the Bronze Age. Annual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6, 13–74.
  4. Schaub, R. T., & Rast, W. E. (1989). Bab edh-Dhra': Excavations in the Cemetery Directed by Paul W. Lapp (1965-67). Eisenbrauns.
  5. Rast, W. E., & Schaub, R. T. (1974). Survey of the Southeastern Plain of the Dead Sea, 1973. Annual of the Department of Antiquities of Jordan, 19, 5–53, 175–185.
  6. Collins, S. (2013). The Kikkar Dialogues: The Search for Sodom and Gomorrah. Trinity Southwest University Press.
  7. Collins, S., & Scott, L. A. (2013). Discovering the City of Sodom: The Fascinating, True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Old Testament's Most Infamous City. Howard Books.
  8. Merrill, J. H., J. T. VanDevender, J. D. Landis, B. J. T. Kuelbs, M. S. Kent, D. M. Flicker, S. B. Hansen, G. A. Rochau, W. E. Fowler, and A. J. Harvey-Thompson. (2022). Comment on “A Tunguska sized airburst destroyed Tall el-Hammam a Middle Bronze Age city in the Jordan Valley near the Dead Sea”. Scientific Reports, 12, 17841. (Note: This is a comment challenging the original paper, showing ongoing scientific debate).
  9. Biran, A., & Naveh, J. (1993). An Aramaic Stele Fragment from Tel Dan. Israel Exploration Journal, 43(2/3), 81–98.
  10.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n.d.).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Bible. Retrieved from https://www.biblicalarchaeology.org/daily/biblical-topics/bible-interpretation/archaeological-evidence-for-the-bible/ (This is a general resource, specific findings like Hezekiah's Tunnel or Jericho have dedicated reports/articles).

 

 

진화론이 거짓인 7가지 과학적 증거

진화론은 과학적인가? 1. 과학과 재현 가능성 과학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하고, 측정하고, 분석하고, 예측하고, 검증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과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재현 가능성 (

gospel79.tistory.com

 

다윈의 진화론 (1)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 그나마 남아 있던 내 마지막 믿음을 앗아간 것은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경험한 것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경험이 어찌나 깊었던지 그 때내가 앉았

gospel79.tistory.com

 

진화론 뒤집어 보기 (2)

다윈의 진화론 (1)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 그나마 남아 있던 내 마지막 믿음을 앗아간 것은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경험한 것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경험이 어찌나 깊었던

gospel79.tistory.com

 

진화론의 오류 (3)

다윈의 진화론 (1)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 그나마 남아 있던 내 마지막 믿음을 앗아간 것은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경험한 것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경험이 어찌나 깊었던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1) - 우연 발생

진화론의 오류 (3) 다윈의 진화론 (1)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 그나마 남아 있던 내 마지막 믿음을 앗아간 것은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경험한 것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경험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2) - 화학적 친화

생명의 기원 가설 (1) - 우연 발생 진화론의 오류 (3) 다윈의 진화론 (1)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 그나마 남아 있던 내 마지막 믿음을 앗아간 것은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경험한 것들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3) - 자기 배열 성향

이 가설은 '비평형 열역학(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라는 거창한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기본적으로 이런 내용이다. 특정 상황 하에서 에너지가 상당한 고속으로 시스템을 통과하게 되면 시스템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4) - 우주에서 날아온 씨

지구상의 화학적 진화에 대한 감당 못할 장애물 때문에 시름에 빠진 과학자들 (DNA 공동 발견자인 크릭을 포함) 은 생명의 빌딩 블록이 우주의 다른 곳에서 왔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생명의 기원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5) - 해저 구멍

1977년 '알빈' 호라는 연구용 잠수함을 타고 에콰도르 서안 태평양 수면에서 800 미터쯤 물 속으로 내려간 과학자들은 바다 밑바닥에 특이한 열수 구멍들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근처에는 구멍에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6) - 진흙에서 나온 생명

최근에 매스컴을 통해 대중화된 또 하나의 가설은 생명이 흙에서 나왔다는 스코틀랜드 화학자 A.G 케언스 스미스(Cairns-Smith) 의 주장이다. 흙의 결정체 구조가 생명이 발생하기 이전의 화학 물질

gospel79.tistory.com

 

생명의 기원 가설 (7) - 초자연적 존재

화학 물질이 생명체로 진화할 수 있다는 과학자들의 가설은 번번이 허탕을 치고 말았다. 최근 일각에서는 원시 지구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방식을 선보이기 위해 컴퓨터 모델을 사용하기도

gospel79.tistory.com


현재 하버드, MIT, 칼텍, 스탠포드, 프린스턴을 포함한 전세계 최고의 대학에서 수학, 물리학, 공학, 생물학, 의학을 가르치는 1,000여 명이 넘는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이 다윈 진화론의 과학적 허구성을 주장하고 있으며, 여기에 참여하는 과학자들의 수는 지금 이 시간에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진화론을 지지하는 것은 종교의 문제가 아니라 지능의 문제입니다. 

 

진화론에 반대하는 전세계 학자들의 리스트 : https://www.discovery.org/m/securepdfs/2023/05/Scientific-Dissent-List-05012023-2.pdf

 

Dissent from Darwin – There is a scientific dissent from Darwinism and it deserves to be heard.

 

dissentfromdarwin.org

 

최초의 생명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생명의 기원)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과학자들은 생명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안하고 있는데요,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화학 진화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원시 지구의 특정한 환경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파일 다운받기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전체 페이지 html 보기 (가독성이 좋습니다)

2018/08/23 - [불편한 진실] - 한 고대 문서 이야기

2012/10/31 - [불편한 진실] -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2012/10/30 - [불편한 진실] -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012/10/30 - [불편한 진실] -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012/10/30 - [불편한 진실] -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012/10/30 - [불편한 진실] -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012/10/30 - [불편한 진실] -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012/10/29 - [불편한 진실] -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2012/10/28 - [불편한 진실] -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7 - [불편한 진실] -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6 - [불편한 진실] -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5 - [불편한 진실] -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4 - [불편한 진실] -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3 - [불편한 진실] -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2 - [불편한 진실] -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2012/10/21 - [불편한 진실] -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2012/10/20 - [불편한 진실] -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2012/10/19 - [불편한 진실] - 6. 체험적인 증거들

2012/10/19 - [불편한 진실] -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2012/10/18 - [불편한 진실] - 8. 결정하셨습니까?

2012/10/11 - [불편한 진실] - 9. 구원의 길

lakesider@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