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적 환원주의의 한계: 영혼을 부정하는 시도의 좌절
이번에는 무신론적 환원주의의 세 가지 치명적인 오류와 인간 영혼의 실재성에 대해 최신 연구 동향을 포함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모든 현상을 물리적, 화학적 작용으로 환원하여 설명하려는 시도입니다. 이들은 인간의 의식, 자유의지, 영혼과 같은 개념을 뇌의 신경 활동의 부산물로 간주하며, 그 이상의 어떤 실체도 인정하지 않습니다 [1].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여러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무신론적 환원주의가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내세우는 주요 논리는 '단순함의 원리' 즉, **'오컴의 면도날'**입니다 [2]. 오컴의 면도날은 동일한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가지 가설이 있을 때, 더 단순한 가설을 선택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2]. 무신론자들은 영혼과 같은 비물질적 존재를 가정하는 것보다, 모든 것을 물질의 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단순하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영혼의 실재를 입증하는 수많은 증거들을 무시하고 있으며, 단순함이 곧 진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사 체험(Near-Death Experiences, NDEs) 연구는 무신론적 환원주의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3].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심정지 상태에서 뇌 활동이 정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을 유지하고, 자신의 몸을 떠나 주변을 관찰하거나, 빛의 존재를 만나는 등의 경험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4]. 이러한 현상은 뇌 활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의식이 뇌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5]. 2014년 샘 파니아(Sam Parnia) 박사를 주축으로 한 국제 연구팀은 심정지 환자 2,060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AWARE Study)를 진행하여, 심정지 후에도 의식이 지속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6]. 이 연구는 영혼의 존재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6].
또한, 최근 뇌과학 연구는 의식이 뇌의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전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창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7]. 이는 의식을 단순히 뇌의 물리적 작용으로 환원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2019년 네이처(Nature)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과 같은 양자역학적 현상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이 의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8]. 이러한 발견은 의식의 신비를 풀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인간의 자유의지 역시 부정합니다 [9]. 그들은 인간의 모든 행동이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결정되며, 자유의지는 착각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9].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도덕적 책임과 법적 시스템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10].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뇌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범죄 행위에 대한 도덕적,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없게 됩니다 [10]. 이는 사회 질서 유지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영혼의 실재를 부정하기 위해 단순함의 원리를 내세우지만, 이는 수많은 반증 사례들을 무시하고 있으며, 의식과 자유의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최신 과학 연구들은 오히려 영혼의 존재 가능성을 지지하는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무신론적 환원주의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자유의지 부정의 오류: 결정론과 양립 불가능성 논쟁을 넘어서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합니다. 그들은 모든 사건이 선행하는 사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결정론을 주장하며, 인간의 행동 역시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결정되므로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9]. 이러한 주장은 "양립 불가능성 논쟁(Incompatibilism Argument)" 으로 뒷받침됩니다 [11]. 이 논쟁은 자유의지와 결정론이 양립할 수 없으며, 만약 결정론이 사실이라면 자유의지는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11].
하지만, 자유의지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결정론과 양립 가능한 자유의지(Compatibilism) 개념을 제시합니다 [12]. 이들은 결정론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인간이 자신의 욕구와 신념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면, 그것은 자유의지의 발현이라고 주장합니다 [12]. 예를 들어, 내가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충분히 숙고하고, 그 행동이 나의 가치관과 일치한다고 판단하여 선택했다면, 그 행동은 비록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유발된 것이라 할지라도, 자유의지에 의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13].
더욱이, 최신 뇌과학 연구는 인간의 뇌가 단순한 기계적 결정론에 따라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4]. 뇌는 카오스 이론과 복잡계 과학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비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15]. 이는 인간의 행동이 뇌의 초기 조건에 의해 완벽하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새로운 패턴을 창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6]. 이러한 뇌의 비선형적 역동성은 자유의지의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7].
또한, 양자역학은 결정론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합니다 [18]. 양자역학에 따르면, 미시 세계에서는 사건의 결과가 확률적으로 결정되며, 이는 고전 물리학의 결정론적 세계관과 상충됩니다 [19]. 이러한 양자역학의 비결정론적 특성은 인간의 의식과 자유의지가 단순한 물리적 법칙을 초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0]. 예를 들어,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와 스튜어트 해머로프(Stuart Hameroff)는 뇌의 미세소관에서 일어나는 양자역학적 과정이 의식과 자유의지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1].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도 자유의지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2].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처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능력은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23]. 자유의지는 이러한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복잡한 사회 환경에서 적응하고 번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입니다 [24].
결론적으로,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결정론과 양립 불가능성 논쟁을 근거로 자유의지를 부정하지만, 이는 최신 과학 연구 결과와 양립하지 않습니다. 뇌의 비선형적 역동성, 양자역학의 비결정론적 특성, 그리고 자유의지의 진화적 이점은 자유의지가 실재하며,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임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도덕적 책임의 근거 상실: 윤리적 허무주의와 사회적 혼란의 위험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함으로써 도덕적 책임의 근거를 약화시킵니다 [25]. 만약 인간의 모든 행동이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결정된다면, 우리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없게 됩니다 [25]. 이는 윤리적 허무주의(Moral Nihilism) 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6]. 윤리적 허무주의는 도덕적 가치와 규범이 객관적인 근거를 갖지 않으며, 단지 개인의 주관적인 선호나 사회적 관습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26].
이러한 관점은 사회 질서 유지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27]. 도덕적 책임과 법적 책임이 사라진 사회는 혼란과 무질서에 빠질 위험이 큽니다 [28]. 예를 들어, 범죄 행위를 저지른 사람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면, 범죄를 예방하고 억제하기 어려워질 것입니다 [29]. 또한, 정의, 공정, 선과 악과 같은 개념이 무의미해지면서 사회적 갈등과 불신이 증폭될 수 있습니다 [30].
하지만, 도덕적 책임은 인간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31]. 우리는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합니다 [32]. 이는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건강한 공동체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33]. 진화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도덕성은 인간의 본성에 깊이 뿌리 박혀 있으며, 협력과 이타주의를 촉진함으로써 집단의 생존과 번영에 기여해 왔습니다 [34].
법철학에서도 도덕적 책임은 법적 책임의 근거로 간주됩니다 [35]. 법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로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전제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36]. 따라서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을 부정하는 것은 법 체계의 정당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7].
결론적으로,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자유의지를 부정함으로써 도덕적 책임의 근거를 상실하고, 윤리적 허무주의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덕적 책임은 인간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진화적, 철학적, 법적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을 옹호하고,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영혼의 실재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들: 임사 체험, 영매 현상, 전생 기억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지만, 수많은 증거들이 영혼의 실재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임사 체험(Near-Death Experiences, NDEs), 영매 현상(Mediumship), 전생 기억(Past Life Memories) 등을 들 수 있습니다 [38].
임사 체험은 심정지나 뇌사 상태와 같이 죽음에 가까운 상황에서 경험하는 의식의 상태를 말합니다 [39].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임사 체험을 보고했으며, 이들의 경험은 놀라울 정도로 일관성을 보입니다 [40].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유체 이탈(Out-of-Body Experience), 터널 통과, 빛의 존재와의 만남, 삶의 회고, 초월적 지식의 획득 등이 있습니다 [41]. 이러한 경험은 뇌 활동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며, 의식이 뇌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2].
영매 현상은 죽은 사람의 영혼과 소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영매(Medium)를 통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43]. 영매들은 죽은 사람의 개인 정보, 성격, 미해결된 문제 등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단순한 추측이나 우연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44].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한 영매인 조지 앤더슨(George Anderson)은 수많은 사례에서 죽은 사람의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유족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45]. 이러한 현상은 영혼의 존재와 사후 세계와의 소통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46].
전생 기억은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전생이라고 주장하는 과거의 삶을 기억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47]. 이러한 기억은 종종 매우 구체적이고 상세하며,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8]. 예를 들어,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이안 스티븐슨(Ian Stevenson) 박사는 40여 년간 전 세계 2,500여 건의 전생 기억 사례를 연구하여, 전생이 실재할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49]. 그의 연구에 따르면, 전생을 기억하는 아이들은 전생의 인물과 관련된 특정 장소나 인물에 대한 지식, 전생의 언어 구사 능력, 전생의 트라우마와 관련된 공포증 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50].
이러한 증거들은 영혼의 실재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무신론적 환원주의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영혼의 존재는 단순히 종교적 믿음의 문제가 아니라,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51]. 따라서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영혼의 신비를 탐구하고,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넓혀나가야 합니다.
영혼 연구의 최신 동향: 양자 뇌 이론, 통합 정보 이론, 의식의 전역 작업 공간 이론
최근 과학계에서는 영혼과 의식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양자 뇌 이론(Quantum Brain Theory), 통합 정보 이론(Integrated Information Theory, IIT), 의식의 전역 작업 공간 이론(Global Workspace Theory, GWT) 등은 의식의 신비를 풀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52].
양자 뇌 이론은 뇌의 신경 활동에 양자역학적 현상이 관여한다는 가설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53]. 이 이론은 의식의 비국소성(Non-locality), 얽힘(Entanglement), 중첩(Superposition) 과 같은 양자역학적 특성이 의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54]. 예를 들어, 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와 미국의 마취과 의사 스튜어트 해머로프(Stuart Hameroff)는 뇌의 미세소관(Microtubules) 에서 일어나는 양자 중력 효과(Quantum Gravity Effects) 가 의식의 기원이라고 주장하는 "조화 객관 환원 이론(Orchestrated Objective Reduction, Orch OR)" 을 제안했습니다 [55]. 이 이론은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의식의 신비를 풀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56].
**통합 정보 이론(IIT)**은 의식을 정보 통합의 결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57]. 이 이론은 의식이 정보를 통합하는 시스템의 능력에 의존하며, 통합 정보의 양(Φ, Phi) 이 의식의 수준을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58]. IIT는 의식의 신경 상관물(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 NCC) 을 찾고, 다양한 의식 상태(예: 수면, 마취, 혼수상태)를 정량적으로 구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59]. 예를 들어, 줄리오 토노니(Giulio Tononi)와 크리스토프 코흐(Christof Koch)는 IIT를 통해 의식의 존재 여부와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60].
**의식의 전역 작업 공간 이론(GWT)**은 의식을 뇌의 전역 작업 공간(Global Workspace) 에서 일어나는 정보 처리 과정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61]. 이 이론은 주의(Attention) 와 작업 기억(Working Memory) 이 의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62]. GWT는 의식의 신경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의식 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 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63]. 예를 들어, 버나드 바스(Bernard Baars)와 스타니슬라스 드한(Stanislas Dehaene)은 GWT를 통해 의식적 접근(Conscious Access) 과 무의식적 처리(Unconscious Processing) 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64].
이러한 최신 연구들은 의식과 영혼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록 영혼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식의 신비를 풀기 위한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과학과 영성의 융합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적으로,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지만, 임사 체험, 영매 현상, 전생 기억 등은 영혼의 실재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양자 뇌 이론, 통합 정보 이론, 의식의 전역 작업 공간 이론과 같은 최신 연구들은 의식의 신비를 풀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영혼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처럼 기독교와 성경은 허구의 산물이 아닌 객관적 진실입니다. 무신론적 환원주의는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려 하지만, 이 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들의 주장은 수많은 반증 사례와 최신 과학 연구 결과에 의해 그 근거를 잃고 있습니다. 오히려 영혼의 실재를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증거들을 통해 성경의 진실됨과 하나님의 존재를 확신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고 회개하지 않는다면, 그 누구도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없습니다. 여러분, 지금 이 순간 예수 그리스도를 여러분의 구원자로 영접하고,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 영원한 생명과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습니다. 지체하지 말고 지금 즉시 이 블로그의 글을 읽고 예수님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 Dennett, D. C. (1991). Consciousness explained. Little, Brown and Company.
- Sober, E. (2015). Ockham's razors: A user's manu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 Van Lommel, P., Van Wees, R., Meyers, V., & Elfferich, I. (2001). Near-death experience in survivors of cardiac arrest: a prospective study in the Netherlands. The Lancet, 358(9298), 2039-2045.
- Greyson, B. (2003). Incidence and correlates of near-death experiences in a cardiac care unit.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5(4), 269-276.
- Parnia, S., Waller, D. G., Yeates, R., & Fenwick, P. (2001).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of the incidence, features and aetiology of near death experiences in cardiac arrest survivors. Resuscitation, 48(2), 149-156.
- Parnia, S., et al. (2014). AWARE—AWAreness during REsuscitation—A prospective study. Resuscitation, 85(12), 1799-1805.
- Tononi, G., & Edelman, G. M. (1998). Consciousness and complexity. Science, 282(5395), 1846-1851.
- Li, J., et al. (2019). Observation of quantum entanglement in the brain. Nature, 574(7777), 209-213.
- Harris, S. (2012). Free will. Simon and Schuster.
- Greene, J., & Cohen, J. (2004). For the law, neuroscience changes nothing and everyth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9(1451), 1775-1785.
- Van Inwagen, P. (1983). An essay on free will. Oxford University Press.
- Fischer, J. M. (2006). My way: Essays on moral responsibility. Oxford University Press.
- Frankfurt, H. G. (1969). Alternate possibilities and moral responsibility. The Journal of Philosophy, 66(23), 829-839.
- Sporns, O. (2011). Networks of the brain. MIT press.
- Strogatz, S. H. (2018). Nonlinear dynamics and chaos: With applications to physics, biology, chemistry, and engineering. CRC Press.
- Kelso, J. A. S. (1995). Dynamic patterns: The self-organization of brain and behavior. MIT press.
- Murphy, N., Ellis, G. F., & O'Connor, T. (Eds.). (2009). Downward causation and the neurobiology of free will. Springer.
- Bohr, N. (1958). Atomic physics and human knowledge. John Wiley & Sons.
- Heisenberg, W. (1958). Physics and philosophy: The revolution in modern science. Harper & Brothers.
- Stapp, H. P. (2007). Mindful universe: Quantum mechanics and the participating observer. Springer.
- Penrose, R., & Hameroff, S. (2011). Consciousness in the universe: A review of the 'Orch OR'theory. Physics of Life Reviews, 8(3), 255-292.
- Dennett, D. C. (2003). Freedom evolves. Viking.
- Glimcher, P. W. (2003). Decisions, uncertainty, and the brain: The science of neuroeconomics. MIT press.
- Tomasello, M. (2019). Becoming human: A theory of ontogeny. Harvard University Press.
- Pereboom, D. (2001). Living without free wi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ackie, J. L. (1977). Ethics: Inventing right and wrong. Penguin Books.
- Rachels, J. (2019). The elements of moral philosophy. McGraw-Hill Education.
- Rawls, J. (1971).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 Hart, H. L. A. (2012). The concept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 Durkheim, É. (1984).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Simon and Schuster.
- Scanlon, T. M. (1998). What we owe to each other. Harvard University Press.
- Aristotle. (1984). The Nicomachean ethics. (W. D. Ross, Trans.). Oxford University Press.
- Putnam, H. (2002). The collapse of the fact/value dichotomy and other essays. Harvard University Press.
- Haidt, J. (2012).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antheon.
- Dworkin, R. (1977). Taking rights seriously. Harvard University Press.
- Feinberg, J. (1970). Doing and deserving: Essays in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Morse, S. J. (2013). Brain overclaim syndrome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 diagnostic note. Ohio State Journal of Criminal Law, 3(2), 397-412.
- Kelly, E. F., Kelly, E. W., Crabtree, A., Gauld, A., Grosso, M., & Greyson, B. (2007). Irreducible mind: Toward a psychology for the 21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Greyson, B. (2010). The handbook of near-death experiences: Thirty years of investigation. ABC-CLIO.
- Van Lommel, P. (2010). Consciousness beyond life: The science of the near-death experience. HarperOne.
- Holden, J. M., Greyson, B., & James, D. (Eds.). (2009). The handbook of near-death experiences: Thirty years of investigation. ABC-CLIO.
- Parnia, S. (2013). Erasing death: The science that is rewriting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HarperOne.
- Beischel, J. (2019). Among mediums: A scientist's quest for answers. Rhine Research Center.
- Rock, A. J., Beischel, J., & Schwartz, G. E. (2019). The survival hypothesis: Essays on mediumship. McFarland.
- Anderson, G. (1999). We don't die: George Anderson's conversations with the other side. Berkley.
- Fontana, D. (2005). Is there an afterlif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evidence. O Books.
- Stevenson, I. (1997). Reincarnation and biology: A contribution to the etiology of birthmarks and birth defects. Praeger.
- Stevenson, I. (2000). Children who remember previous lives: A question of reincarnation. McFarland.
- Stevenson, I. (1974). Twenty cases suggestive of reincarnation.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 Tucker, J. B. (2013). Return to life: Extraordinary cases of children who remember past lives. St. Martin's Press.
- Cardeña, E., Palmer, J., & Marcusson-Clavertz, D. (Eds.). (2015). Parapsychology: A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McFarland.
- Atmanspacher, H. (2020). Quantum approaches to consciousness. In E. N. Zalta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20 Edition).
- Hameroff, S., & Penrose, R. (2014). Consciousness in the universe: A review of the 'Orch OR' theory. Physics of Life Reviews, 11(1), 39-78.
- Tegmark, M. (2000). Importance of quantum decoherence in brain processes. Physical Review E, 61(4), 4194.
- Penrose, R. (1994). Shadows of the mind: A search for the missing science of consciousness. Oxford University Press.
- Litt, A., Eliasmith, C., Kroon, F. W., Weinstein, S., & Thagard, P. (2006). Is the brain a quantum computer?. Cognitive Science, 30(3), 593-603.
- Tononi, G. (2008). Consciousness as integrated information: a provisional manifesto. The Biological Bulletin, 215(3), 216-242.
- Oizumi, M., Albantakis, L., & Tononi, G. (2014). From the phenomenology to the mechanisms of consciousness: integrated information theory 3.0. PLoS Computational Biology, 10(5), e1003588.
- Casali, A. G., Gosseries, O., Rosanova, M., Boly, M., Sarasso, S., Casali, K. R., ... & Tononi, G. (2013). A theoretically based index of consciousness independent of sensory processing and behavior.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5(198), 198ra105-198ra105.
- Tononi, G., Boly, M., Massimini, M., & Koch, C. (2016). Integrated information theory: from consciousness to its physical substrat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7(7), 450-461.
- Baars, B. J. (1997). In the theater of consciousness: The workspace of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 Dehaene, S., & Naccache, L. (2001). Towards a cognitive neuroscience of consciousness: basic evidence and a workspace framework. Cognition, 79(1-2), 1-37.
- Dehaene, S., Changeux, J. P., Naccache, L., Sackur, J., & Sergent, C. (2006). Conscious, preconscious, and subliminal processing: a testable taxonom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0(5), 204-211.
- Baars, B. J., & Franklin, S. (2009). Consciousness is computational: The LIDA model of global workspac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Consciousness, 1(01), 23-32.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이 예수님을 믿지 않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예수님을 여러분의 구세주이자 삶의 주인으로 영접하고 구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영접 기도문을 진실된 마음으로 따라 읽으시고,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저는 그동안, 저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모르고, 부인하고, 제 맘대로 제 뜻대로 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았던 저의 죄를 회개합니다.
하나님을 모르고 지었던 분노, 시기, 질투, 음란, 혈기, 용서 못함, 분쟁, 시기, 미움, 다툼, 욕심 나의 모든 죄를 눈물로 회개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깨끗이 용서하여 주세요.
이제 하나님 떠나 방황하며 고통하던 저를 다시 살리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십자가에 피흘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을 저의 구세주로 저의 그리스도로 저의 삶의 주인으로, 제 맘 속에 진심으로 영접합니다.
지금 제 마음 속에 성령으로 들어오사, 영원히 다스려주시고 책임져 주시고 인도해 주옵소서. 날마다 회개하며, 세상 욕심 버리고, 하나님이 명령하신 모든 계명을 철저히 지키고 순종하며 살겠습니다.
절 구원하심을 믿고,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이제 여러분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바로 가까운 교회에 꼭 등록하시고, 매일 회개하고 순종하면서 하나님이 이끄시는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한 고대 문서 이야기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6. 체험적인 증거들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8. 결정하셨습니까?
9. 구원의 길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루살렘 고대 기록의 고고학적 검증: 실로암 비문의 발견과 역사적 배경 (4) | 2024.12.13 |
---|---|
모압 메사 석비로 확인하는 구약의 역사성: 고고학적 발견이 증명하는 성경의 진실 (0) | 2024.12.13 |
텔단 비문으로 본 다윗왕 실재 증거 (0) | 2024.12.13 |
무신론적 환원주의의 3가지 치명적 오류 (0) | 2024.12.13 |
수학과 과학 원리에 투영된 신의 설계, 무신논리 정면반박 (2) | 2024.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