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울 서신에 등장하는 '가정교회' 언급을 통해 1세기 초대교회의 모습을 재구성해 보고자 합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가정에서 모여 예배하고 교제를 나눴다는 사실은 신약성경의 여러 대목에서 확인됩니다. 이는 기독교가 실제 역사 속에서 뿌리내리며 성장해 갔음을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라 할 수 있습니다.
바울 서신에 나타난 가정교회 언급들
바울은 여러 서신서에서 개인의 집에서 모이는 교회, 즉 가정교회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로마서 16장에는 "그들의 집에 있는 교회"(롬 16:5), "저의 집에 있는 교회"(롬 16:23)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1] 이는 브리스가와 아굴라, 가이우스 등이 자신의 집을 교회로 사용하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2]
고린도전서 16장 19절에서도 바울은 "아시아의 교회들이 너희에게 문안하고 아굴라와 브리스가와 그 집에 있는 교회가 주 안에서 너희에게 간절히 문안한다"라고 전합니다.[3] 골로새서 4장 15절에는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해 주시기 바란다"는 말씀이 나옵니다.[4]
이처럼 바울 서신 곳곳에서 가정교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 빌레몬, 눔바 등 개인의 집에서 정기적으로 모임을 가졌던 교회들의 존재가 확인되는 것입니다. 이는 1세기 교회의 기본 단위가 가정이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가정교회와 관련된 성경의 다른 증언들
가정교회에 대한 증거는 바울 서신 외에도 성경 여러 곳에서 발견됩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초대교회 성도들은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행 2:46) 교제를 나누었습니다.[5]
사도행전 12장에는 베드로가 감옥에서 풀려난 후 "마리아라 하는 요한의 어머니의 집"으로 갔다는 기록이 나옵니다(행 12:12). 이어지는 내용에서 그 집에는 "여러 사람이 모여 기도하더라"(행 12:12)는 대목이 나오는데,[6] 이는 초대교회 시절 마리아의 집이 예루살렘 교인들의 기도 처소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줍니다.[7]
또한 빌레몬서는 빌레몬의 집에서 모이는 교회를 언급하고 있으며(몬 1:2), 사도 요한도 "택하심을 받은 귀부인과 그의 자녀에게 편지하노니"(요이 1:1), "택하심을 받은 네 자매와 그의 자녀에게 문안하노라"(요삼 1:13)라고 쓰고 있습니다.[8]
이처럼 신약성경은 초대교회 시기에 가정교회가 널리 존재했으며, 교회 활동의 중심축 역할을 했음을 다각도로 증언하고 있습니다. 공동 예배와 성찬, 기도 모임 등 신앙 공동체의 주요 활동이 가정에서 이루어졌던 것입니다.
1세기 주택 구조와 고고학적 발견들
고고학적 발굴과 1세기 주거 문화에 대한 연구는 성경에 묘사된 가정교회의 실체를 뒷받침하는 물질적 증거들을 제공해 줍니다. 1세기 팔레스타인과 로마 제국 도시에서 발견된 유적과 유물은 당시 가정교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 로마의 산 지오반니 바실리카 지하에서는 기원후 1세기 말의 고대 로마 주택이 발굴되었는데, 이곳에서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예배를 드렸던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9] 두라 에우로포스 유적에서는 기원후 200년대의 사립 주택을 개조한 교회 건물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10]
또한 1세기 지중해 가옥의 구조적 특징은 소규모 신앙 공동체 모임에 적합한 형태였음이 밝혀졌습니다.[11] 중정(atrium)과 트리클리니움(triclinium) 등 넓은 공간이 있어 수십 명의 사람들이 모여 예배를 드릴 수 있었고, 분리된 공간에서는 세례나 성찬 같은 의식을 거행할 수 있었습니다.[12]
이처럼 성경과 역사, 고고학적 자료는 상호 보완적으로 1세기 가정교회의 실상을 입증해 주고 있습니다. 초기 기독교는 화려한 건물이나 제도가 아닌, 신자들의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싹트고 자라났던 것입니다.
초대교회 가정교회의 신학적, 목회학적 의의
성경에 나타난 가정교회의 모습은 단순한 역사적 기록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 교회에 신학적, 목회학적 교훈을 던져줍니다. 가정교회야말로 평신도 중심의 유기적 공동체로서, 모든 성도가 사역에 참여하는 교회의 본질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13]
무엇보다 초대교회의 가정교회는 교회가 건물이 아닌 '사람'임을 일깨워 줍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이는 곳이라면 그것이 바로 교회인 것입니다.[14] 성도들의 교제와 섬김이 있는 곳에 그리스도의 임재가 있으며, 성령의 역사가 나타납니다. 화려한 건물이나 프로그램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된 지체들의 코이노니아가 교회의 본질입니다.[15]
또한 가정교회는 제도에 매이지 않는 유연하고 역동적인 교회 운영의 모델을 보여줍니다. 가정교회에서는 소수의 성직자가 아닌 모든 성도가 은사에 따라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가족 같은 친밀한 관계 속에서 신앙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16] 이는 오늘날 제도화된 교회가 돌아보아야 할 초대교회의 영성과 역동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가정교회는 복음 증거와 선교의 전초기지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습니다. 가정은 불신자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하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일상의 공간이었습니다.[17] 초대교회의 부흥은 바로 평신도들이 가정에서,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18]
이처럼 초대교회 가정교회의 모습은 현대 교회에 신선한 도전을 주고 있습니다. 교회의 본질로서의 코이노니아, 모든 성도의 사역 참여, 일상에서의 선교 실천 등 가정교회 속에 담긴 교회론적 통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입니다.
초대교회 가정교회와 한국교회
한국교회도 초창기부터 가정교회의 전통을 이어받았습니다. 19세기 말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사역은 바로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아펜젤러와 언더우드가 서울에 세운 최초의 교회들은 방 한 칸짜리 조그만 공간에서 시작되었습니다.[19]
일제 강점기 시대에도 가정교회는 한국교회 부흥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성도들은 집집마다 모여 말씀을 묵상하고 기도하며 신앙을 키워갔습니다. 특히 평양대부흥 운동의 불길은 가정예배와 사경회 운동으로 이어져 한국교회의 영적 토대를 이루었습니다.[20]
그러나 현재의 한국교회는 가정교회의 가치와 영성을 많이 상실해 가고 있는 듯합니다. 물량주의와 교세 확장에 치우쳐 교회의 본질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도와 건물 중심의 사역에 치중하다 보니 성도들의 자발적 참여와 은사가 위축되기도 합니다.[21]
한국교회가 본연의 생명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초대교회와 초기 선교사들의 영성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회중 중심의 역동적 신앙 공동체, 가족과 이웃을 향한 복음의 열정이 오늘날 우리에게 더욱 절실히 요청되고 있습니다.[22] 작은 가정교회들의 부흥이 한국교회의 미래가 될 것입니다.
사랑하는 독자 여러분, 지금까지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초대교회의 가정교회 모습을 재구성해 보았습니다. 신약 성경은 물론 역사적, 고고학적 자료들은 1세기 교회의 기본 단위가 '가정'이었음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히 모임 장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구현했던 신앙 공동체였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가정교회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남깁니다. 무엇보다 교회의 본질은 건물이 아닌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들의 모임이라는 사실, 모든 성도가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책임지는 공동체라는 사실 말입니다. 형식이 아닌 본질, 제도가 아닌 사람에 집중할 때 우리는 초대교회의 역동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초대교회의 정신은 한국교회 초기에도 이어졌습니다. 가정을 중심으로 복음의 불길이 타올랐던 그 역사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신앙의 유산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가정교회의 영성을 회복하는 것, 그것이 한국교회 부흥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 주님께서는 우리 각자의 가정과 교회에 함께 하십니다. 이제 우리의 가정이 복음의 전초기지요 주님의 강한 군대가 되어야겠습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처럼 우리의 집과 삶터에서 복음의 역동성을 실천하는 여러분 모두가 되시길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합니다.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입은 자라 그리스도 예수께서 친히 모퉁잇돌이 되셨느니라 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 가고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느니라" (에베소서 2:20-22)
[참고문헌]
- Dunn, J. D. (2009). Beginning from Jerusalem: Christianity in the Making. Wm. B. Eerdmans Publishing.
- Banks, R. J. (1994). Paul's idea of community: The early house churches in their cultural setting. Hendrickson Publishers.
- Osiek, C., MacDonald, M. Y., & Tulloch, J. H. (2006). A woman's place: house churches in earliest Christianity. Fortress Press.
- Campbell, R. A. (1994). The elders: seniority within earliest Christianity. A&C Black.
- Elliott, J. H. (2003). The Jesus movement was not egalitarian but family-oriented. Biblical Interpretation, 11(2), 173-210.
- Fitzmyer, J. A. (2008). First Corinthians (Vol. 32). Yale University Press.
- Gehring, R. W. (2004).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Hendrickson Publishers.
- Witherington III, B. (2007). The Letters to Philemon, the Colossians, and the Ephesian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on the Captivity Epistles. Wm. B. Eerdmans Publishing.
- Jewett, R. (1993). Tenement churches and communal meals in the early church: the implications of a form-critical analysis of 2 Thessalonians 3: 10. Biblical Research, 38, 23-43.
- Balch, D. L. (2008). Roman domestic art and early house churches. Mohr Siebeck.
- Branick, V. (1989). The house church in the writings of Paul. Liturgical Press.
- Murphy-O'Connor, J. (2009). Keys to First Corinthians: revisiting the major issues. Oxford University Press.
- Birkey, D. (1991). The house church in the writings of Paul. Wipf and Stock Publishers.
- Banks, R., & Banks, J. (1998). The church comes home. Hendrickson Publishers.
- Filson, F. V. (1939).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House Churches.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58(2), 105-112.
- Klauck, H. J. (2000). The religious context of early Christianity: a guide to Graeco-Roman religions. A&C Black.
- Keener, C. S. (2014). Acts: An Exegetical Commentary: 3:1-14:28 (Vol. 2). Baker Academic.
- Bitner, B. J. (2012). The house church at Corinth and the Lord's Supper: Famine, food supply, and the present distress.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35(2), 200-231.
- 민경배. (2007).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출판부.
- 박용규. (2004). 평양 대부흥운동. 생명의말씀사.
- 이훈구. (1986). 초대교회 가정교회 연구. 기독교사상, 30(6), 189-203.
- 주종훈. (2012). 가정교회와 소그룹 목회: 역사와 상황화.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이 예수님을 믿지 않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예수님을 여러분의 구세주이자 삶의 주인으로 영접하고 구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영접 기도문을 진실된 마음으로 따라 읽으시고,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저는 그동안, 저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모르고, 부인하고, 제 맘대로 제 뜻대로 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았던 저의 죄를 회개합니다.
하나님을 모르고 지었던 분노, 시기, 질투, 음란, 혈기, 용서 못함, 분쟁, 시기, 미움, 다툼, 욕심 나의 모든 죄를 눈물로 회개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깨끗이 용서하여 주세요.
이제 하나님 떠나 방황하며 고통하던 저를 다시 살리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십자가에 피흘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을 저의 구세주로 저의 그리스도로 저의 삶의 주인으로, 제 맘 속에 진심으로 영접합니다.
지금 제 마음 속에 성령으로 들어오사, 영원히 다스려주시고 책임져 주시고 인도해 주옵소서.
날마다 회개하며, 세상 욕심 버리고, 하나님이 명령하신 모든 계명을 철저히 지키고 순종하며 살겠습니다.
절 구원하심을 믿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이제 여러분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바로 가까운 교회에 꼭 등록하시고, 매일 회개하고 순종하면서 하나님이 이끄시는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이 예수님을 믿지 않고 계시다면, 지금 바로 예수님을 여러분의 구세주이자 삶의 주인으로 영접하고 구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영접 기도문을 진실된 마음으로 따라 읽으시고,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저는 그동안, 저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모르고, 부인하고, 제 맘대로 제 뜻대로 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았던 저의 죄를 회개합니다.
하나님을 모르고 지었던 분노, 시기, 질투, 음란, 혈기, 용서 못함, 분쟁, 시기, 미움, 다툼, 욕심 나의 모든 죄를 눈물로 회개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깨끗이 용서하여 주세요.
이제 하나님 떠나 방황하며 고통하던 저를 다시 살리시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셔서,
십자가에 피흘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을 저의 구세주로 저의 그리스도로 저의 삶의 주인으로, 제 맘 속에 진심으로 영접합니다.
지금 제 마음 속에 성령으로 들어오사, 영원히 다스려주시고 책임져 주시고 인도해 주옵소서.
날마다 회개하며, 세상 욕심 버리고, 하나님이 명령하신 모든 계명을 철저히 지키고 순종하며 살겠습니다.
절 구원하심을 믿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이제 여러분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이번 주에 바로 가까운 교회에 꼭 등록하시고, 매일 회개하고 순종하면서 하나님이 이끄시는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 역사가 유스투스의 기록과 예수에 대한 논쟁 분석 (0) | 2024.05.16 |
---|---|
네로 황제 당시 기독교 박해와 강제 노역형 제도의 역사 (0) | 2024.05.16 |
플라비우스 클레멘스 처형 사건과 초기 기독교 박해의 실상 (0) | 2024.05.16 |
사도 요한의 묵시록과 기독교 박해 시대의 역사적 상황 (0) | 2024.05.16 |
플라비우스 클레멘스 처형 사건과 초기 기독교 박해의 실상 (0) | 2024.05.16 |
댓글